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 재산세 카드혜택, 납부기간, 부과기준 정리

by 유니TM 2024. 7. 28.

매년 7월이 되면 많은 분들이 재산세 납부 소식을 듣고 분주해지곤 합니다. 세금을 낼 때 카드 혜택을 잘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 이번에는 재산세에 대한 정보와 카드 혜택을 정리해볼게요.

 

1. 재산세란?

재산세는 소유하고 있는 재산에 대해 일정 기준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주로 토지나 주택을 소유한 사람들이 해당하며,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2024년 6월 1일 이후에 새로 소유한 자산에 대해서는 재산세가 부과되지 않으니 참고하세요.

재산세 대상에는 토지, 건축물, 주택, 항공기, 선박 등이 포함됩니다. 주거용 오피스텔은 재산세가 부과되지만, 상업용 오피스텔은 제외됩니다. 다만, 상업용 오피스텔이 1억 원 미만일 경우 세금이 부과되지 않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2. 2024 재산세 납부 기간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에 나누어 납부합니다.

  • 1차 납부 기간: 07.16 ~ 07.31 (주택 1회차, 건축물, 선박, 항공기)
  • 2차 납부 기간: 09.16 ~ 09.30 (주택 2회차, 토지)

부동산 소유자라면 이번에 받은 우편물은 주택 1회차 재산세라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9월에도 추가로 또 받을 예정입니다.

 

3. 2024 재산세 부과 기준

재산세의 과세 기준 및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율비교

 

 

과세 표준은 시가 표준액에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곱하여 결정되며, 주택의 경우 이 비율이 60%입니다. 1주택자는 공시 가격에 따라 43%에서 45%의 비율이 적용됩니다. 3억 원 이하일 경우 43%, 3억 원 초과 6억 원 이하일 경우 44%, 6억 원 초과 시 45%가 됩니다.

 

예를 들어, 10억 원짜리 집의 공시가격이 8억 원이라면, 재산세 과표는 8억 원의 60%인 4억 8천만 원이 됩니다. 1주택자라면 공정시장가액 비율이 적용되어 3억 6천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이 후, 표준세율 또는 1주택자 특례세율을 곱하여 최종 재산세가 결정됩니다. 표준세율은 과표에 따라 0.1%에서 0.4%까지이고, 1주택자에게는 0.05%에서 0.35%까지 특례세율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과표가 3억 6천만 원이라면, 1주택자 특례세율을 적용하여 총 세금으로 63만 원을 납부하게 됩니다.

 

4. 카드납부 혜택

재산세 부담이 클 경우 카드사별로 2~3개월 무이자 할부 또는 부분 무이자할부 행사를 하고 있으니 보유한 카드가 있으시면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재산세는 지방세로 카드 납부시 국세와 달리 납부대행 수수료가 없는 점도 기억해두면 좋겠습니다.

 

행사대상 카드는 인터넷 지로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적용되는 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현대카드, 비씨카드, 농협카드, 하나카드, 우리카드, 수협카드, 광주카드, 전북은행카드

단, 카드사 별로 행사 내용과 기간이 변경 될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재산세에 대한 정보와 혜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세금 납부 시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024 재산세

반응형